본문 바로가기

기타(대회, 프로젝트 정리)

(2)
IO 지표를 이용한 시계열 데이터 예측 모델의 개선 - 고3 창의 R&E 시계열 데이터라는 것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데이터를 말한다.이 연구에서는 주식 데이터를 예측하는 모델을 만들고 IO 지표로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. 우선 IO 지표는 산업연관표라고도 불리고 발생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 및 처분과 관련된 모든 거래 내역을 일정한 원칙과 형식에 따라 기록한 종합적인 통계표이다.간단하게 그냥 io표에 기록된 값이 높으면 두 산업 사이의 상관관계가 높다고 할 수 있다. 연구에서 사용한 시계열 데이터 예측 모델은 ARIMA 모델과 VAR 모델 2가지가 있다.ARIMA 모델은 과거의 데이터들을 이용해 자기상관계수를 구하고 이를 통해 식을 세워 미래 데이터를 예측하는 모델이다.데이터의 계절성을 분석하는 Holt-winters 계절성 기법과 함께 사용된다.VAR 모델은 두 개 이..
2048게임을 통한 강화학습 효율 비교 - 고등학교 졸업논문 고3 때 쓴 졸업논문을 정리하는 글이다.주제는 강화학습이고 2048 게임을 가지고 학습의 효율을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했다.연구에서 사용되는 강화학습 모델은 DQN이라는 알고리즘인데,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 먼저강화학습의 기본 원리와 Q-learning 알고리즘을 알아야 한다.https://bluesunset-hack.tistory.com/249 강화학습(마르코프 체인, 벨만 방정식, Q-learning)강화학습은 Agent가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보상을 최대화하는 action을 학습하는 기계 학습의 한 분야이다.Agent는 학습하고 행동을 하는 주체를 말하고, 주어진 환경에서 어떤 행동이 보상을 최대화bluesunset-hack.tistory.com해당 내용을 정리한 글이다. Q-learning에서는 모든 ..